정보
아이오타 또는 이오타는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의 약자로서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M2M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암호화폐입니다.
M2M이란 Machine to Machine의
약자로서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기계와 기계가 서로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이오타는 블록체인이 아닌
탱글 알고리즘 기반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아이오타에는 블록도 없고 체인도 없으며
탱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음 거래자가 이전 거래자 2명의
거래내역을 검증하고
승인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아이오타 프로젝트는
2015년 독일에서 시작되었고
2017년 독일 정부로부터
아이오타 재단에 대해 승인을 얻었습니다.
아이오타 설립자인 데이비드 손스테보
세르게이 이반체글로
세르게이 포포프, 도미닉 시너
4명 모두 2010년부터 1년간 블록체인의
영역에서 일을 해왔다는 점에서
영향이 있었습니다.
아이오티는 필수, 필요에 의해
탄생을 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다른 기업의
등장 배경과 차이가 있습니다.
아이오타라는 프로젝트를 생각하게
된 것은 방향성 비사이클 그래프를
이용한 화려한 새 기술을
창조시키려던 욕구가 아닌
사물 인터넷을 위한 거래 안정
및 해결과 그 해결책의 부재였습니다.
아이오타는 JINN프로세서의
첫 번째 프로토 타입이 3개월간의
테스트를 거치고 3개월 후인
2015년 10월에 발표가 되었습니다.
특징
1. 사물인터넷 코인
다양한 전자기기들 간의 통신 및
네트워크는 새로운 머신 이코노미
경제를 창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이란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것을 말합니다.
스마트폰, 가전제품, 헬스케어,
자율 주행 자동차, 스마트홈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소액 결제
사물인터넷의 특징상
소액 결제가 매우 빈번합니다.
사물들 스스로 전기에 대한 요금을
납부하거나 모바일 데이터를 사는 등의
다양한 M2M 소액 결제가 발생합니다.
아이오타는 소량의 데이터로 여러 번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는데 최적화된
암호화폐 플랫폼입니다.
2. 탱글 알고리즘
탱글이란 새로 발생한 거래가
이전에 발생한 2개의 거래를
확인해 주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알고리즘입니다.
기존 블록체인 알고리즘과 달리
탱글에는 블록도 없고 체인도 없습니다.
- DAG 기반
탱글은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인
대그(DAG; Directed Acyclic Graph)를
기반으로 하는 완전히
새로운 알고리즘으로서
기존 블록체인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탱글에서는 네트워크 참여가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전 트랜잭션을
확인하는 검증자가 됩니다.
새로운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전에 진행되었던
2개의 거래내역을
확인하고 검증을 진행해야 합니다.
- 수수료 무료
탱글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에서
문제가 되었던 거래 수수료와
트랜잭션 속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스템입니다.
탱글은 채굴 기능이 없이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이전 트랜잭션을
검증하게 함으로써, 거래 수수료를
없애고 트랜잭션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3. 스냅샷
아이오타는 스냅샷 기능을 이용해
영(0, zero)이 아닌 잔액을 모두 저장하고
0의 값을 가지는 모든 주소를 삭제합니다.
이러한 스냅샷은 전체 노드에 대한
저장공간에 대한 이점을 제공하는데
전체 노드의 기록을 저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4. 개인정보보호
- 믹서
아이오타는 믹서 개념을 적용하여
거래 참여자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합니다.
-맘
아이오타는 맘을 사용하여
각종 사물인터넷 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 스트림을
암호화해 전송할 수 있습니다.
주요인물
데이비드 손스테보(David Sønstebo)
아이오타 공동 설립자 겸
아이오타 재단 공동 회장입니다.
노르웨이 기업가로 IoT
블록체인 및 전자정부, 디지털 아이덴티티
스마트 시티 등 모든 종류의
신기술에 대한 열정을 가진 창업가입니다.
2010년 블록체인에 대해 알게 되었지만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것은
2012년입니다.
lesswrong/overcomingbias/
futurology community과
같은 커뮤니티 사이트들을 통해서
2012년 암호화폐를 공부하기 시작하였고
2013년에는 직접 암호화폐를
거래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그는 단순 거래를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NXT에 합류하여
본격적으로 블록체인 산업에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도미닉 시너(Dominik Schiener)
아이오타 공동 설립자 겸
아이오타 재단 공동 회장입니다.
도미닉 시너는 1995년 12월
이탈리아 북부의
사우스 티롤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어린나이부터 컴퓨터와
인터넷에 관심이 많았고
14살에는 컴퓨터 게임 해킹프로그램을
팔아 돈을 벌기도 하였습니다.
2012년에는 해킹을 통해 번 돈으로
광고주와 제휴 업체를 연결해주는
마케팅 플랫폼을 만든 스타트업
Fileyy를 설립하였습니다.
이 후 비트코인 채굴과 스타트업을
운영하며 얻은 자금으로 본격적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기업을 설립하였고
2015년에는 아이오타(IOTA)에 합류하여
현재 아이오타 재단
공동 대표이사로 활동 중입니다.
랄프 로트만(Ralf Rottmann)
아이오타 재단 이사입니다.
독일의 사물인터넷 관련 회사인
그랜드센트릭스(grandcentrix)
회사 공동 설립자이고
알카텔-루슨트에 회사를 매각했습니다.
세르게이 이반체글로(Sergey Ivancheglo)
아이오타 공동 설립자 겸
아이오타 재단 이사입니다.
전기공학자 겸 소프트웨어 개발자이며
Nxt의 설립자이고, 진랩스(Jinn Labs)의
공동 창업자입니다.
벨라루스의 수도 민스크에서 태어나
전자 및 인공 지능 분야의
전문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20년 이상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해
왔으며 주로 분산 원장 기술에
주력해왔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 게임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대규모 멀티 플레이를하는
온라인 게임 및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백엔드 기술을
개발하는데 관심을
크게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세르게이 이반체글로는 분산 원장 기술을
통해 블록체인을 바탕으로 하는
분산 컴퓨팅을 구축하였습니다.
분야에서 만큼 뛰어나고 천재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던 세르게이 이반체글로는
비트코인의 초점을 넘어선 블록체인에
추가된 기능을 갖춘 최초의 프로젝트인
NXT를 만들었으며 지분증명
컨센서스 메커니즘의
선구자 였으며, 최초로 완전한
스테이크 증명을 구현했습니다.
그는 데이비드 손스테보와 함께
2014년 스텔스 분산 컴퓨팅
하드웨어 IP회사를 공동 설립했으며
아이오타(IOTA)의 공동 설립자 이자
재단 이사로 있으며 Jinn Labs의
공동 창업자 이기도 합니다.
세르게이 포포프(Serguei Popov)
아이오타 공동 설립자 겸
아이오타 재단 이사입니다.
아이오타 백서인 "The Tangle"(탱글)
문서를 작성했습니다.
확률 이론을 전공한 수학과 교수이며
취미는 등산, 체스, 헤비메탈
음악 감상입니다.
2013년 말 비트코인에 관한 기사를
우연히 발견한 후, bitcointalk.org의
열렬한 독자가 되었고
세르게이 이반체글로 a.k.a.의 도움으로
BCNext라는 익명의 사용자가 설립한
nxt의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발견했습니다.
Popov는 Nxt의 블록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계산과 함께 짧은 노트를 출판한
후 nxt 커뮤니티에서 유명해졌습니다.
데이비드 손스테보(David Sønstebø)와
현재 IOTA로 알려진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으며 수개월에 걸친
논의 끝에 이 팀은 IOTA의
현재 설계원리를 고안해 냈습니다.
Serguei는 여전히 확률적 과정의
일반적인 분야에서 연구를 하고 있지만
이제 그의 주된 과학적 노력은
IOTA와 다른 더 광범위한 DLT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Nxt PoS 알고리즘에
관한 IOTA 백서 및 논문 외에 Sergui는
분산형 랜덤성과 IOTA 팁 선택 알고리즘의
게임 이론적 측면에 관한
논문을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정보 참고 출처
http://wiki.hash.kr/index.php/%EC%95%84%EC%9D%B4%EC%98%A4%ED%83%80
아이오타 - 해시넷
아이오타(IOTA, 埃欧塔) 또는 이오타는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의 약자로서,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M2M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M2M(엠투엠)이란 Machine to Machine의 약자로서, 사물인터넷(I
wiki.hash.kr
(해시넷 아이오타)
Home
IOTA has re-engineered the principles of exist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to provide a feeless, open-source, secure data and financial exchange protocol for everyone
www.iota.org
(아이오타 공식홈페이지)
전망
아이오타 일봉입니다.
현재 단기 1300~1800원까지 박스권을
형성하면서 지속적으로 물량을 삼켜주고
한번씩 물량테스트를
해주고 있는 흐름이네요
이런 경우에는 박스권 하단까지
조정이 오길 기다렸다가 조금씩 매수를
분할로 들어가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박스권 하단 자체가 강한 지지구간으로
보이기때문에 추가적으로 박스권 하단을
하향돌파하는 흐름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네요.
박스권 흐름은 향후 한달정도 예상합니다.
그때까지 박스권에 맞는 매매를 해주시고,
한달정도 뒤에 1800원을 거래량을
동반하며 강하게 뚫어주는 흐름이
나올 경우 추가적인 상승 흐름을
노려보고 2500원까지 목표가 잡고
대응해도 좋겠습니다.
아래방은 좋은 정보들을 공유 해주는 방이라고
하니 부담없이 놀러오세요~
Coin Get 투자그룹
#코갤 #코박 #빗썸 #업비트 #코인원 #바이낸스 #코인 #채굴 #암호화폐 #코인 #가상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open.kakao.com
'각 코인 정보와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썬더토큰(Thunder Token) 정보와 전망 (2) | 2021.10.06 |
---|---|
테조스(Tezos) 정보와 전망 (0) | 2021.09.28 |
렌(Ren)코인 정보와 전망 (1) | 2021.09.17 |
라이트코인(Litecoin)정보와 전망 (1) | 2021.09.15 |
오미세고(OmiseGo)코인 정보와 전망 (1) | 202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