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테조스(Tezos)는 온체인 거버넌스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계약과 디앱 개발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암호화폐입니다.
유동지분증명(LPoS)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했습니다.
오카멜(OCaml)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했으며,
빠른 속도와 완벽한 보안이 장점입니다.
테조스의 화폐 단위는 XTZ이면서
테지(tezzies)라고도 불립니다.
특징
1. 자체 개정 시스템
비트코인캐시처럼 포크를 하는 경우,
커뮤니티를 분열시키고 참여자들 중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이들의 인센티브를 변경시키게 되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형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약화시킬 수 있어 블록체인에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테조스의 자체 개정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포크하지
않고서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조정이나
실행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여러 다양한 변화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2. 온체인 거버넌스
테조스는 사용자가 프로토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미래 혁신을 구현할 수 있는
공식 프로세스를 제공하는데,
이를 위한 핵심 기술이 바로 온체인 거버넌스입니다.
온체인 거버넌스는 모든 사용자에게 자체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자가 수정형 암호 해독을 제공합니다.
테조스는 자체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져 하드포크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프로토콜 개선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3. 스마트 계약과 검증
테조스는 스마트 계약을 만들고
제3자에 의해 검열되거나 폐쇄될 수 없는
디앱을 구축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게다가 테조스는 스마트 계약과 같은 프로그램을
수학적으로 증명함으로써 보안을 향상시키는 기술인
공식 검증을 용이하게 했습니다.
설정한 조건에 맞으면 전송·거래가 이뤄지는
스마트 계약에 수학적으로 검증하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테조스 블록체인은 쉬운 공식 검증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스마트 계약 보안을 강화했고
이 기술은 적절히 사용하면 비용이 많이 드는
버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여기에 이더리움 다오(DAO)의 버그를
처음으로 발견한 블록체인 전문가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미켈슨, 오카멜, 리퀴디티
테조스는 블록체인 최초로 미켈슨과
오카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개발했습니다.
미켈슨 언어는 스마트 계약의 수학적 코드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데 필요한 간단한 트랜잭션의
논리적 프로세스와 시스템의 간단한
관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또, 다중 서명 지갑, 권리 부여 및 분배와 같은
사업을 도울 수 있습니다.
오카멜 언어는 파이썬(Python)처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짧은 코드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바이트 레벨로 명령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플랫폼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빠른 속도를 제공하고, 설계단계에서도
보안성을 가장 중점으로 두고 진행되었습니다.
이 기술을 이용함으로서 테조스는
*하드포크가 필요 없게 되었습니다.
*하드포크는 블록체인의 기본 기능 자체를
수정하는 포크를 말합니다.
하드포크는 블록체인의 문제 해결 및 업그레이드 방식의
하나로서,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기존 문제를
해결하고 이전 블록체인과 전혀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는 블록체인이 됩니다.
이런 하드포크 이후에 채굴 노드들은
새로운 버전으로 강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합니다.
하드포크의 반대말은 소프트포크!
테조스는 스마트 계약을 위해
리퀴디티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합니다.
리퀴디티는 테조스 측에서 자체로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미켈슨의 보안사항을 엄격히 준수하는
테조스의 고급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입니다.
주요인물
아서 브라이트만(Arthur Breitman)
아서 브라이트만은 프랑스에서 태어났습니다.
2007년 미국 뉴욕대학교에서 수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골드만 삭스에서 근무했으며
모건 스탠리에서 부사장을 맡았습니다.
2013년 8월 23일 캐슬린 브라이트만과 결혼했으며
2016년 퇴사하여 테조스 프로젝트를 이끌었습니다.
2018년 4월 24일 서울 강남구 코너스톤 스페이스에서
열린 테조스 밋업에 참석했는데
그는 테조스의 최대 장점은 거버넌스라고 하면서
"테조스는 온체인 거버넌스를 통해 안정적인
블록체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부인과 함께 캘리포니아 주 실리콘밸리에 있는
마운틴뷰(Mountain View)에 살다가
아내와 함께 프랑스 파리로 이주하여 살고 있습니다.
캐슬린 브라이트만(Kathleen Breitman)
캐슬린 브라이트만은 미국 뉴저지 주 출생으로
카톨릭계의 이매큘릿 하트 아카데미
(Immaculate Heart Academy)
여자고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2008년 뉴욕대학교를 다니던 중 코넬대학교로
편입하여 2012년 졸업하고 이후
월스트리트 저널, 브릿지워터 어소시에이츠, 드 딕토,
액센추어 등 여러 컨설팅 회사에서
컨설턴트로서 경험을 쌓았으며
2016년에는 블록체인 스타트업인 R3에서
수석 전략 담당자로 근무하였습니다.
2013년 8월 23일 테조스의 공동 창업주이자 남편인
아서 브라이트만과 결혼했으며
2014년에 그와 함께 테조스 백서
Tezos Whitepaper)를 공동 작성했습니다.
2016년 10월에는 팀 드레이퍼(Tim Draper) 등
투자자의 지원을 받아 본격적으로
테조스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2018년 8월 10일 한국에 방문하여 삼성전자에서
특강을 하였고, 서울 서초구 신논현역 앞에 있는
더디자이너스 호텔에서 테조스 한국 커뮤니티
회원들과 밋업을 가졌습니다.
9월에는 IBINSEX NEWS에서 암호화폐 산업을
선도하는 5명의 여성 중 1위로 뽑히기도 했습니다.
라이언 래키(Ryan Lackey)
온체인 거버넌스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계약과 디앱 개발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암호화폐인 테조스의 생태계 확장을 위해
스위스 추크(Zug)에 설립된
테조스재단의 최고보안책임자입니다.
정보 참고 출처
http://wiki.hash.kr/index.php/%ED%85%8C%EC%A1%B0%EC%8A%A4
테조스 - 해시넷
테조스(Tezos)는 온체인 거버넌스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계약과 디앱 개발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암호화폐이다. 유동지분증명(LPoS)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오카멜(OCaml)[1]이라는 프로
wiki.hash.kr
( ↑ 해시넷 테조스)
Tezos: A blockchain designed to evolve
Tezos is an open-source platform that addresses key barriers facing blockchain adoption for assets and applications, backed by a global community of validators, researchers, and builders.
tezos.com
( ↑ 테조스 공식홈페이지)
전망
테조스의 주봉입니다.
최근 바닥구간에서 가격을 들어올리면서
지난 4월 만들어둔 저항권을
돌파하기 위해서 시도하고 있는 흐름입니다.
주목할 점은 저항구간을 뚫어주려
가격을 들어올리면서,
거래량을 이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정도로
동반해주고 있다는 점인데요
그러면서 아랫꼬리는 지속적으로 달아주며
아랫쪽에서 매수세가 받쳐주고 있습니다.
오늘로 월봉 또한 새로 만들어지는 구간인데,
이전 저항구간 위로 가격을 올려두면서
추가적인 상승의 가능성을 상당히
많이 열어두고 있는 모습이네요
현 상황에서 갑작스런 악재로
급락이 나오지 않는 이상은,
2~3주 안으로 추가적인 상승흐름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목표가는 1차 12,000원
2차 15,000원
이렇게 잡고 대응하시는게 좋겠네요^^
아래방은 좋은 정보들을 공유 해주는 방이라고
하니 부담없이 놀러오세요~
Coin Get 투자그룹
#코갤 #코박 #빗썸 #업비트 #코인원 #바이낸스 #코인 #채굴 #암호화폐 #코인 #가상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open.kakao.com
'각 코인 정보와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오타(IOTA) 코인 정보와 전망 (2) | 2021.10.16 |
---|---|
썬더토큰(Thunder Token) 정보와 전망 (2) | 2021.10.06 |
렌(Ren)코인 정보와 전망 (1) | 2021.09.17 |
라이트코인(Litecoin)정보와 전망 (1) | 2021.09.15 |
오미세고(OmiseGo)코인 정보와 전망 (1) | 202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