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따로 제대로 나와있는 정보가 없어서
공식홈페이지 문서의 번역글을
참조해서 작성 되었습니다.
렌(Ren)은 블록체인간에 가치를
서로 교환할 수 있는 개방형 프로토콜입니다.
모든 블록체인, 개발자 및 사용자에게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려는 의도로
RenVM을 개발했습니다.
RenVM은 사용의 단순성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사용자가
단일 체인에서 단일 트랜잭션만 수행하면
되는 기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트랜잭션은 많은 애플리케이션,
많은 자산,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많은 체인에 걸쳐 있는 임의의 복잡한
논리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보편적인 상호운용성이라고 부릅니다.
렌VM은 분산형 상호운용성 솔루션을
강화하는 엔진 역할을 하며,
여러 입력 및 여러 당사자에 대한
비밀 계산을 허용하는 솔루션이다.
렌VM은 그 자체로 제품이나
응용 프로그램이 아니며 개발자가
DeFi 응용 프로그램에 교차 체인 기능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및 동반 SDK)입니다.
관련된 일
블록체인 간에 다양한 형태의
상호운용성을 달성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며, 대부분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간의
상호 작용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아토믹 스왑(또는 HTLC라고도 함)은
특수 비트코인 스크립트와
이더리움 계약을 사용하여
BTC가 ETH/ERC20으로 완전히
스왑되거나 전혀 스왑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Alice가 Bob과 BTC를 ETH로
교환하려고 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Bob이 BTC의 양육권을 가질 수 없다면
Alice는 ETH의 양육권을 얻지 못합니다.
아토믹 스왑에는 많은 바람직한 속성이
있지만 두 가지 주요 단점이 있습니다.
1. 보편적으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아토믹 스왑은 스왑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Alice와 Bob은
자산과 가격대에 대해 이미 동의해야 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 매우 제한적입니다.
아토믹 스왑을 사용하여
교차 사슬 담보 파생 상품,
자동화된 마켓 메이커 등을
만들 수 없으므로 다른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2. 자유 옵션 문제가 있습니다.
아토믹 스왑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긴 시간 초과가 필요합니다.
Alice 또는 Bob은 시장 상황을 관찰하여
스왑이 계속해서 유리한지 확인하면서
의도적으로 천천히 참여할 수 있습니다.
시장 움직임은 항상 스왑을
한 당사자에게 불리하게 만들고
당사자는 스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당사자들에게 불리한 거래를
철회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작동원리
렌VM은 복잡하고 구성 가능한 교차 체인 트랜잭션을
지원할 수 있지만 설계는 비교적 간단합니다.
1. 다크노드
렌VM은 100,000 REN 토큰의 본드를
실행해야 하는 Darknodes로 알려진 수천 대의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기계로 구동됩니다.
모든 다크노드의 채권은 좋은 행동에 대한 약속을
나타내며
1) 다크노드가 악의적으로 행동하는 경우 또는
2) 자산 손실에 책임이 있는 경우
(그리고 깎인 채권을 사용하여 손실된 자산을
복원할 수 있는 경우) 삭감될 수 있습니다.
2. 샤드
다크노드는 주기적으로 샤드 라고 하는
겹치지 않는 무작위 그룹으로 섞입니다.
각 샤드는 RZL MPC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샤드의 다크노드를 포함하여 모든 사람에게
알려지지 않은 비밀 ECDSA 개인 키를 생성합니다.
이 비밀 ECDSA 개인 키는 1/3 이상의 다크노드의
협력 없이는 공개될 수 없으며 거래 서명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각 샤드에서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샤드는 최소 100개의 다크노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루에 한 번 무작위로 섞입니다.
공격자가 전체 네트워크의 많은 부분을 소유해야
샤드 하나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Sybil 공격이 어려워집니다.
또한 뇌물 공격을 극도로 어렵게 만들어
공격자가 최소한의 신뢰로 단기간에
많은 익명의 다크노드와 결탁해야 합니다.
3. 수수료
수수료는 다크노드가 RenVM을
구동하는 주요 인센티브입니다.
작업에 대한 대가로 Darknodes는
사용자가 지불하는 수수료로 보상을 받습니다.
사용자가 한 체인에서 다른 체인으로
BTC를 전송하면 Darknodes는 해당 전송의
조정 가능한 작은 비율을 얻습니다.
즉, 사용자가 BTC를 이동하면
Darknodes가 BTC를 얻는 식입니다.
주요인물
인물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홈페이지에 있는
사진으로 대체했습니다.
출처
http://wiki.hash.kr/index.php/%EB%A0%8C
렌 - 해시넷
렌(Ren)은 블록체인간에 가치를 서로 교환할 수 있는 개방형 프로토콜이다. 렌VM은 분산형 상호운용성 솔루션을 강화하는 엔진 역할을 한다. 또한 여러 입력 및 여러 당사자에 대한 비밀 계산을
wiki.hash.kr
(↑해시넷 렌)
https://github.com/renproject/ren/wiki#related-work
GitHub - renproject/ren: Feature, improvement, and design proposals for Ren protocol
Feature, improvement, and design proposals for Ren protocol - GitHub - renproject/ren: Feature, improvement, and design proposals for Ren protocol
github.com
(↑렌 공식 홈페이지 문서)
전망
렌 일봉입니다.
개인적으로 최근 본 코인중에 가장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코인입니다.
추석 연휴때 중국 '헝다그룹'이슈로 인해서
큰 하락장이 지속되었었는데,
이를 하루만에 바로 회복해버린
아주 힘이 있는 코인입니다.
800원대부터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는데,
다시 한번 더 2000원 위로 쳐줄 준비가
어느정도 된 것으로 보이네요
매수를 고려하시는 분이라면
1000~1200원 사이에서 분할로 매수를 들어가시되,
매수도 급하지 않게 천천히 들어가시는게 좋겠습니다.
보통 제가 같이 하시는 분들에게는
며칠동안 조금씩 산다고 생각하세요~라고
말씀을 자주 드리는데
렌은 2~3일동안 조금씩 비중을 채워간다고
생각하고 천천히 매수를 들어가면 좋겠네요^^
아래방은 좋은 정보들을 공유 해주는 방이라고
하니 부담없이 놀러오세요~
Coin Get 투자그룹
#코갤 #코박 #빗썸 #업비트 #코인원 #바이낸스 #코인 #채굴 #암호화폐 #코인 #가상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open.kakao.com
'각 코인 정보와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썬더토큰(Thunder Token) 정보와 전망 (2) | 2021.10.06 |
---|---|
테조스(Tezos) 정보와 전망 (0) | 2021.09.28 |
라이트코인(Litecoin)정보와 전망 (1) | 2021.09.15 |
오미세고(OmiseGo)코인 정보와 전망 (1) | 2021.09.08 |
엘프(ELF)코인 정보와 전망 (2)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