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 코인 정보와 전망

라이트코인(Litecoin)정보와 전망

정보

 

라이트 코인 로고와 글씨

 

 

라이트코인(Litecoin)은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작고

가벼운 암호화폐입니다.

간략히 라코라고도 합니다.

 

중국어로는 라이터비

라고 합니다.

 

비트코인이 디지털 골드라면

라이트코인은 디지털 실버입니다.

라이트코인은 '은색 비트코인'이라고도

불리고라이트코인의 화폐 단위는

LTC입니다.

 

라이트코인은 개인간 피투피(P2P)

거래에 직접 주고받을 수 있는

암호화폐로서 거의 제로에 가까운

비용으로 전 세계 사람들에게

즉각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의 하드포크로

파생돼 나온 최초의 암호화폐입니다.

2011년 10월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라이트코인은 오픈소스이며, 중앙

당국과 상관없는 완전히 탈중앙화된

글로벌 지불 네트워크입니다.

라이트코인의 수학에 기반한 네트워크는

안전하게 보호되어 있으며, 개인이

자신의 자금을 직접 관리할 수 있게

해주며 특징은 그 어떤 통화보다

더욱 빠른 거래 승인과 향상된

저장 효율성에 있습니다.

많은 업계 지원과 거래량과 유동성으로

비트코인을 보완하는 통화 매체로

입증되고 있습니다.

 

라이트 코인 공식 홈페이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는

거래할 때마다 서로의 거래 내용을

블록체인에 올려야 거래가 마무리가

되는데 비트코인의 거래량이 늘어나다

보니 거래 속도가 크게 떨어졌습니다.

 

다중 장부로 블록체인 특성상

저장해야 할 거래 내용이 많아지다

보니 처리 속도가 느려진 것입니다.

또한 거래 수수료도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였습니다.

 

라이트코인은 이 문제들을

해결하며 등장했습니다.

바로 라이트닝 네트워크 솔루션을

도입했는데, 라이트닝 네트워크

거래는 오프체인(off-chain) 거래라

불리며 이는 모든 거래 내용을

오프체인에 등록한 뒤 모든

거래 내역을 종합해 최종 결과만

온체인에 업로드하는 방식입니다.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승인 대기 시간이 생략되며

거래가 즉시 완료되며 또 오프체인 거래를

함으로써 채굴자에게 수수료를

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거래 수수료는

제로에 가깝게 낮아집니다.

 

이러한 라이트닝 네트워크에서는

다중 키와 시간 잠금 계약을

활용해 신뢰를 확보하는데

가령 A와 B라는 두 사람이

공동 계좌를 만들고 다중 키로

설정하고 블록체인에서 이 장부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두 사람 모두의

비밀 키가 필요한데

오프체인에서는 둘의 합의만으로

갱신해 나가다가 장부를 청산할 때

다중 키를 이용해 온체인합니다.

둘 사이에 합의된 거래는

시간 잠금 계약을 걸기 때문에

한 사람이 합의를 뒤집고

자신에게 유리한 상태로 장부를

온체인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비트코인과의 공통점 & 차이점

 

공통점

 

라이트코인은 여러 가지 면에서

비트코인과 매우 유사한 암호화폐입니다.

피투피(P2P) 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증명(PoW)이라는

합의 알고리즘으로 유지됩니다.

 

이로 인해 모든 사용자들의

거래내역은 블록에 저장되고,

이러한 블록들이 체인처럼

연결되어 네트워크에 참가한

모든 참여자는 동일한

거래 기록을 보유합니다.

이처럼 모든 거래 기록을

중앙집권적인 거래 기록

데이터베이스 없이 분산형

구조만으로 구현합니다.

 

라이트코인은 MIT/X11 라이선스로

출시된 오픈소스로, 누구나 소스코드를

복사 및 수정하고 원하는 대로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2진법과 그에 상응하는

소스 코드의 독립적인 검증을

통해 투명한 과정으로 배포됩니다.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처럼 지갑에

코인을 보관할 수 있는데

암호화된 지갑은 지갑을

안전하게 지켜주며, 거래내역과 잔고를

확인할 수 있지만 라이트코인을

전송하기 전에는 반드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라이트코인을 훔치려는

바이러스와 악성 코드로부터

지갑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금액을 이체하기 전 상태가

온전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지갑 주소의 형태도 비트코인과

매우 비슷하지만 라이트코인의

지갑 주소는 무조건 L자로

시작합니다.

 

차이점

 

1. 발행량

비트코인의 총량은 2,100만 개로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라이트코인은 8,400만

개를 발행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어 비트코인보다

4배 더 많습니다.

 

2. 채굴 방식

비트코인은 새로 생성된 블록에

대해 목표값 이하의

해시를 찾아야 채굴에

성공하는데, 비트코인의

해시 알고리즘인 SHA-256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채굴량이 많아지면서 채굴

난이도가 높아지자

전문 ASIC 채굴기까지 개발되는

등 고성능 컴퓨터를

필요로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라이트코인은

ASIC 채굴 방식에 저항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인 스크립트

알고리즘을 사용해 상대적으로

블록 생성이 복잡하지 않고

비트코인에 비해 채굴이

간편해서 PC용 GPU로도

채굴이 가능합니다.

 

3. 채굴 보상

비트코인은 채굴 보상의 반감기가

있어서 2012년 이전,

즉 최초 비트코인 생성 후 4년간

보상은 50 BTC였습니다.

그후 25 BTC로 떨어졌다가 2017년 이후

12.5 BTC로 떨어진 상태입니다.

라이트코인 역시 채굴에 성공할 경우

현재 블록당 25 LTC을 보상 받고 있는데

이 채굴량 역시 4년마다

대략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4. 블록 생성 시간

비트코인은 10분마다 블록이

생성되는데 라이트코인은 거래 속도가

4배 정도 빠르기 때문에

2.5분마다 새 블록이 생겨납니다.

그러므로 라이트코인 블록체인은

비트코인보다 더 많은 거래량을

처리할 수 있고 블록 생성 빈도가

높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향후에도

소프트웨어를 수정할 필요 없이

더 많은 거래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5. 초당 거래수

비트코인의 트랜잭션 속도는

초당 평균 7회 정도

이루어지지만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이런 비트코인의 트랜잭션 속도를

초당 수십억 건의 거래로 비약적으로

빠르게 증가시킵니다.

이 때문에 즉각적인 대량의

소액 결제가 가능합니다.

 

주요인물

 

찰리 리(Charlie Lee)

 

 

찰리 리(Charlie Lee)

 

그는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에서

컴퓨터과학과 전기공학을 전공했습니다.

 

찰리 리는 구글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던

중이던 2011년 비트코인이라는

개념을 처음 접했습니다.

그는 비트코인의 트랜잭션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음을 알고,

이를 개선해 보고자 자신만의

암호화폐를 개발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그는 구글에 재직하며 여가 시간을

쪼개 페어브릭스를 만들었으나,

소프트웨어 버그가 있어

작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찰리 리가 두 번째로 만든 암호화폐가

라이트코인입니다.

 

2011년 10월 불과 150개의 라이트코인을

채굴한 찰리 리는 라이트코인을

세상에 공개했습니다.

이후 적은 수량의 암호화폐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채굴량을

비트코인의 4배로 늘렸습니다.

 

2013년 7월 그는 구글을 떠나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엔지니어링 이사로

일하며 암호화폐 시장에

본격적으로 발을 디뎠습니다.

 

2017년 말 찰리 리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라이트코인을

모두 팔았다고 알렸습니다.

찰리 리는 라이트코인 매도 금액을

라이트코인 재단에 기부했습니다.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티씨씨(BTCC)의

설립자인 바비 리(Bobby Lee)는

찰리 리의 친형입니다.

 


참고 정보 출처

 

http://wiki.hash.kr/index.php/%EB%9D%BC%EC%9D%B4%ED%8A%B8%EC%BD%94%EC%9D%B8

 

라이트코인 - 해시넷

라이트코인(Litecoin) 라이트코인(Litecoin) 라이트코인(Litecoin)은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작고 가벼운 암호화폐이다. 간략히 라코라고도 한다. 중국어로는 라이터비(莱特币, 래특폐, lái tè b

wiki.hash.kr

(해시넷 라이트코인)

 

전망

 

빗썸 라이트코인 월봉

 

라이트코인 월봉입니다.

상장 이후 총2번의 큰 파동을 거쳐오면서

16만원대에 강한 지지구간은 형성을 해둔 모습입니다.

다시 한번 더 큰 파동을 기대하기에는

아직 이평선 정렬이 되지 못한것으로 보이네요

또 다시 큰 파동이 나오기 위해서

물량 소화 및 준비구간 4~5달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중간중간 20만원 후반~ 30만원 초반까지 찌르는

윗꼬리는 한번씩 나올수는 있겠으나

이전처럼 40~50만원까지 찔러주는

큰 파동은 아직 기대하기 힘들다고 볼 수 있겠네요

주봉상으로도 16만원 초반선까지는

추가적인 조정 가능성이 보이기 때문에,

현재 매수를 고려할 시점은 아니고

매수를 염두해두시는 분이라면

16만원대에서 분할로 차근차근 매수를 들어가시되

중기적인 관점으로 접근을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아래방은 좋은 정보들을 공유 해주는 방이라고

하니 부담없이 놀러오세요~

 

 

아래방은 좋은 정보들을 공유 해주는

방이라고 하니 부담없이 놀러오세요

 

https://url.kr/ts6nvc

 

Coin Get 투자그룹

#코갤 #코박 #빗썸 #업비트 #코인원 #바이낸스 #코인 #채굴 #암호화폐 #코인 #가상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open.kakao.com